로렌츠

관심사공부 / / 2021. 3. 7. 14:11

로렌츠는 1903년 오스트리아에서 외과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의사가 되기를 원한 아버지의 바람으로 로렌츠는 의학 과정을 이수하였지만 어린 시절부터 경험하였던 자연과 동물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잊을 수 없어 비엔나 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연구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자신의 저택에서 여러 야생동물들을 관찰하였고 동물들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연구논문들을 발표하였다. 1973년에는 팀버겐(N. Timbergen), 프리슈(K. Frisch)와 함께 노벨 생리 · 의학상을 공
동으로 수상하고, 말년에는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인간의 행동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하였다.


(1) 자연 관찰법
로렌즈는 동물들을 자연 상태에서 관찰하는 것이 동물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로렌츠는 자연관찰(natural observation)을 통하여 동물의 고유한 생태와 행동 패턴, 적응행동들을 파악하였다. 그는 오리, 거위 등을
관찰하기 위하여 자연의 일부가 되어 동물들과 함께 하였다. 그의 이러한 자연관찰방법은 실험실의 주어진 환경 속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동물들의 본능적 행동과 이러한 본능적 행동을 나타나게 만드는 유발 자극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2) 각인 이론
로렌츠는 자연환경 속에서 특정한 자극에 의해 종 특유의 행동이 유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인(stroperating)은 어린 동물이 생후 초기 특정 시기 동안 어떤 대상에 노출되었을 때 그 대상에 대한 추종 반응과 유대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청둥오리를 대상으로 한 로렌츠의 실험에서 부화 후 바로 로렌츠를 본 청둥오리들은 로렌츠를 어미로 인식하고 그를 추종하는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각인 현상은 어미 곁에 있음으로써 먹이를 얻고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적응적 가치를 가진다.

 

(3) 결정적 시기

생존에 필수적인 종 특유의 행동은 어떤 특정한 시기 동안의 외부적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러한 시기를 결정적 시기라 부른다. 만약 결정적 시기 이전이나 이후에 대상에 노출되면 이러한 애착은 형성되지 않는다. 외부적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종 특유의 행동은 각인이라 불리는 추종 행동뿐 아니라 구애 행동 등의 사회적 행동을 포함한다. 일단 결정적 시기가 경과하면 다른 대상에게 애착하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발달하고 있는 유기체가 적응적인 발달 패턴을 나타낼 생물학적 준비가 되었을 때 제공되는 적절한 경험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는 제한된 시간이다. 결정적 시기는 제한된 시간 내에 아동이 특정한 적응행동을 습득하도록 생물 학적으로 준비되어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극적인 환경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정적 시기는 출생 직후 생의 초기에 나타나며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사라진다. 결정적 시기에 형성된 행동은 되돌릴 수 없으며 평생 동안 영향을 미친다. 결정적 시기는 종의 생존을 위해 생물학적으로 내재된 종 특유의 행동이 가장 잘 나타나는 시기이다.

 

(4) 로렌츠 이론의 평가
로렌츠의 이론은 인간의 행동과 발달을 해석하는 데 진화론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은 인간 행동의 적응적 가치와 특정 행동이 유발되는 결정적 시기에 대하여 주목하도록 함으로써 인간 행동을 더욱 폭넓게 바라보게 해 주었
다. 또한 자연 상태에서 동물을 관찰한 로렌츠의 연구방법은 유아 연구에도 적용되어 자연관찰을 통해 유아의 행동 특성을 밝히는 연구들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로렌츠의 이론은 다른 발달 이론들에 비하여 지금까지 아직 실증적인 연구와 검증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인간 행동과 발달에서 환경과 학습의 영향력을 무시했다는 점도 이론의 제한점으로 비판받고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